Article

알스트로메리아 조직배양을 통한 번식에 관한 리뷰

박성화1, 김종보2, 정효진3, 한태호1,3,4,*
Seong Hwa Park1, Jong Bo Kim2, Hyo Jin Jung3, Tae Ho Han1,3,4,*
Author Information & Copyright
1전남대학교 원예학과
2건국대학교 생명공학과
3(주)가든플란트
4전남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1Department of Horticultur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61186, Korea
2Department of Biotechnology, Konkuk University, Chungju 27478, Republic of Korea
3GARDENPLANT(Co.), Gwangju 61186, Korea
4Institution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61186, Korea
*Corresponding Author : wageningen@hanmail.net

ⓒ Copyright 2017,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Published Online: Jun 30, 2016

초록

알스트로메리아는 Liliales목 Alstroemeriaceae과에 속하며, Inca Lily라고 불린다. 칠레와 브라질에 100여종이 넘는 자생종이 있다. 화색과 화형은 다양하고 아름다우며 절화수명과 개화기간이 길다. 알스트로메리아는 흔히 뿌리줄기 포기나누기에 의해서 번식되어지는 세계 10대 절화 작물 중 하나이다. 알스트로메리아 번식은 높은 바이러스 감염의 위험을 가지고 있고 단자엽 식물의 특성으로 낮은 증식률과 같은 특성으로 어렵다. 때문에 알스트로메리아는 조직배양에 의해 번식되어지고 묘가 생산되어진다. 알스트로메리아의 경제적 가치와 세계 화훼 시장의 동향에 따라 알스트로메리아는 연구 가치가 충분하다. 알스트로메리아를 이용한 배양방법은 많은 보고가 있었다. 국외에서는 뿌리줄기 배양(rhizome meristem culture)과 뿌리줄기 나누기(rhizome cutting)에 기초되어져 증식효율 가속화를 위한 미세번식이 보고되었다. 캘러스 배양을 통해 생성된 체세포 배를 이용하여 식물체를 재분화 시킨 과정과 결과가 보고되어졌다. 그 외 잎 이식체를 이용하여 캘러스 형성 없이 직접적인 식물 재분화를 유도한 사례가 1997년 wageningen 대학에 의해 보고 되어졌다. 2006년 멕시코에서는 미성숙 화뢰가 성공적으로 직접적인 줄기 분화를 유도했다고 보고 하였다. 이 외에 GMO 화훼작물 개발에 필수적인 것으로 캘러스 유도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 졌다. 2013년 이란과 한국에서는 마디와 마디사이를 배양하여 캘러스를 유도 하는 데 성공하였다. 특히, 2013년 한국에서는 compact embryogenic callus(CEC)와 friable embryogenic callus(FEC)를 얻을 수 있었고 지속적인 계대배양을 통해 12주나 16주 뒤에 완전한 식물체를 획득할 수 있었다고 보고 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논문들은 대부분이 국외에서 수행되어 졌다. 또한 알스트로메리아는 육종 기술과 조직배양 기술은 네덜란드 기업에 의해 이루어진다. 반면에 국내 품종 배양기술에 관한 연구는 현재 미비한 실정이다. 이 리뷰에서 우리는 알스트로메리아 국내 품종 육종 및 보급을 위한 조직배양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ABSTRACT

Alstroemeria belong to order Liliales, families Alstroemeriaceae and botanical name is Inca Lily. There are about 100 species in Chile and Brazil. Flowers are beautiful with various color and shape, vaselife of cut flower are long. Alstroemeria is commonly propagated by rhizome and one of the top 10 cut flower in the world. The reason of difficulty in Alstroemeria propagation has high rate of virus infection and low propagation rate due to its characteristics as a monocotyledon. For these reasons, Alstroemeria is propagated by tissue culture and produced virus-free plantlets. According to economic value and the trend of world's flower market, research value of Alstroemeria is sufficient. There were many reports about culture methods of Alstroemeria. In other contries, It is reported that micropropagation based on rhizome cuttings or rhizome meristem culture has been developed to accelarate the multiplication efficiency in Alstroemeria. The process and result for plant redifferentiation using somatic embryo produced by callus culture are reported. In previous study in 1997, leafy explant was directly induced redifferentiated plantlet without callus step in Wageningen. In 2006, it was reported that immature inflorescence apices induced direct shoot regeneration successfully in Mexico. Besides, as callus induction is regarded essential for breeding GM flowers, many research on this topic was carried out. It was successful in callus induction though node and internode culturing in Iran and Korea. Especially, In 2013 in Korea, it was reported that a compact embryogenic callus (CEC) and friable embryogenic callus (FEC) were obtained and through continuous subculturing of 12 or 16 weeks perfect plant was obtained. Most of these works were carried out in overseas. Moreover, Alstroemeria breeding techniques and tissue culture techniques are commercially conducted by companies in Netherlands. On the other hand, research on culture techniques for domestic cultivars is scarce in Korea. In this review, it is our plan to support micropropagation of domestic cultivars.